THE YOOJUNG TIMES

yoojungtimes.com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한국정치의 분석과 이해 - 이정복

좌파진보주의를 포용하는 보수자유주의 노선의 한국정치론

한국정치의 분석과 이해 - 이정복 

한국정치는 어떤 다른 나라의 정치보다도 풍부하고 복잡한 내용을 가지고 있다. 이 책은 이러한 한국정치를 중요한 네 가지 시각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첫째, 국제정치적 시각에서 한국의 분단, 남북한 관계, 북핵 문제를 다룬다. 둘째, 정치경제적 시각에서 우리의 사회경제적 조건은 한국정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한국정치는 우리의 경제에 어떠한 작용을 하고 있는가를 살펴본다. 셋째, 한국의 정치문화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고 그것은 한국정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규명한다. 넷째, 한국의 정치과정은 어떠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가를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에 근거해 이 책은 다원민주주의의 정착과 발전을 한국정치의 발전과제로 제시하고, 이를 위해서는 다원민주주의 정권이 경제적 업적 면에서도 과거의 군부독재정권보다 나은 업적을 내야만 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책은 보론으로 한국정치학의 60년을 되돌아보는 글도 실었다. 이 글은 한국정치연구의 방법론적, 이론적 배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은 이념적으로는 보수자유주의와 좌파진보주의의 그 어느 것에도 기울어져 있지 않지만 엄밀하게 따지면 좌파진보주의를 포용하는 보수자유주의 노선의 한국정치론이다.
 
저자:
이정복(李正馥)
서울대 사회과학대학 정치학과 교수
ljb@snu.ac.kr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졸업(1967)
미국 워싱턴대 정치학 박사

외무부 외교안보연구원 교수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정치학과 초빙교수
서울대학교 정치연구소장
서울대 사회과학대학 정치학과 교수

한국정치의 분석과 이해(개정증보판)(서울대출판부, 2006.03.30)
21세기 민족통일에 대한 사회과학적 접근(서울대출판부, 2000.01.05)
한국의 정치적 과제(서울대출판부, 1997.11.10)
한국정치의 이해(서울대출판부, 1996.08.30)
The Political Character of the Japanese Press(서울대출판부, 1985.11.10)
정보사회와 우리(공저)
외 다수


 
개정증보판을 내면서  
초판 머리말  

제1부 국제정치적 남북한론

제1장 미국의 점령정책과 국가기구의 형성
I. 서언  
II. 미국의 점령정책  
III. 미군정기 국가기구의 형성  
IV. 경찰과 군의 형성  
V. 결어  

제2장 남북한의 정치체제와 관계
I. 서언  
II. 남북한 국가의 수립  
III. 남북한의 정치체제  
IV. 남북한 관계  
V. 결어  

제3장 남북한의 화해협력


제4장 대북 햇볕정책의 문제점과 극복방향
I. 서언  
II. 연계정책과 대북 햇볕정책  
III. 한미의 정치체계와 대북 햇볕정책  
IV. 북한의 상황과 대북 햇볕정책  
V. 한국의 통일정책과 대북 햇볕정책  
VI. 북한의 체제적 성격과 대북 햇볕정책  
VII. 결어: 문제점의 극복방향  

제5장 북한 핵 문제의 진전 상황과 해결 전망

제6장 6자회담의 9·19 공동성명과 북핵 문제

제2부 정치경제론

제7장 산업화와 정치체제의 변화
I. 서언  
II. 산업화와 정치체제의 변화에 관한 두 가지 견해  
III. 관료적 권위주의론과 과대성장국가론  
IV. 산업화, 사회계층구조 및 정치체제의 변화  
V. 결어  

제8장 관료적 권위주의론과 한국정치
I. 서언  
II. 오도넬의 관료적 권위주의론  
III. 한국의 관료적 권위주의론  
IV. 한국정치에 있어서의 경제적 요인  
V. 결어  

제9장 민중론의 정치경제적 분석
I. 서언  
II. 외국에서의 민중론  
III. 한국에서의 민중론  
IV. 결어  

제10장 한국정치의 정치경제적 분석
I. 정치경제적 분석방법  
II. 이승만 시대의 정치경제적 분석  
III. 박정희 시대의 정치경제적 분석  
IV. 전두환 시대의 정치경제적 분석  
V. 민주화 시대의 정치경제적 분석  

제3부 정치문화론

제11장 한국의 사회계층과 정치문화
I. 서언  
II. 사회계층 간 동일 정치문화론  
III. 사회계층과 정치적 태도  
IV. 결어  

제12장 중산층과 정치발전

제13장 한국인의 투표행태
I. 서언  
II. 유권자들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지지후보 선택  
III. 유권자들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부동층  
IV. 유권자들의 정치적 태도와 후보 선택  
V. 유권자들의 인물, 정당, 이슈 정향과 후보 선택  
VI. 결어  

제14장 한국의 정치문화
I. 정치문화적 분석방법  
II. 전통 한국의 정치문화  
III. 현대 한국의 정치문화  
IV. 탈현대 속의 한국 정치문화  
V. 요약  

제4부 정치과정론

제15장 의원내각제와 대통령중심제
I. 문제 제기  
II. 정부형태의 제도적 장·단점  
III. 정통성의 위기와 정부형태  
IV. 정치·사회세력 간의 갈등과 정부형태  

제16장 정당과 정당체계의 발전방향
I. 정치발전의 목표로서의 정당 간 정권 교체  
II. 한국 정당의 조직적 특성과 발전방향  
III. 한국 정당체계의 특성과 발전방향  
IV. 정당의 조직적 발전과 정당체계 변화의 연계성  

제17장 한국의 의회정치, 무엇이 문제인가?

제18장 한국의 선거, 정당, 학생, 군, 언론, 이익집단
I. 정치과정 분석방법  
II. 한국의 선거  
III. 한국의 정당  
IV. 한국의 학생, 군, 언론, 이익집단  

제19장 한국의 정치제도와 과정
I. 정치제도적 분석방법  
II. 미군정과 제1공화국시대의 정치제도와 과정  
III. 제2공화국시대의 정치제도와 과정  
IV. 제3공화국시대의 정치제도와 과정  
V. 제4공화국시대의 정치제도와 과정  
VI. 제5공화국시대의 정치제도와 과정  
VII. 제6공화국시대의 정치제도와 과정  

제5부 정치발전론

제20장 21세기 한국의 정치적 과제
제21장 정책대결정치의 부재원인과 극복방향
I. 한국정치의 발전과 타락  
II. 정당 간 정책대결 정치의 필요성  
III. 정당 간 정책대결 부재의 원인  
IV. 한국정치의 발전방향  

제22장 IMF 사태의 정치적 원인과 극복방향

제23장 한국 민주주의의 회고와 과제
I. 서언  
II. 한국의 사회경제적 조건과 민주주의  
III. 한국의 정치과정과 민주주의  
IV. 한국의 정치제도와 민주주의  
V. 결어  

제6부 보  론

제24장 한국정치학 60년: 방법론과 이론
I. 서언  
II. 제1공화국시대(1945~1960)의 정치학 방법론과 이론  
III. 제2~3공화국시대(1960~1972)의 정치학 방법론과 이론  
IV. 제4~5공화국시대의 정치학 방법론과 이론  
V. 제6공화국시대의 정치학 방법론과 이론  
VI. 결어  

참고문헌
찾아보기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이재명 李在明 Lee Jae-myung 대한민국 대통령 제21대
“옛그림으로 떠나는 낚시여행”…안국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