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YOOJUNG TIMES

yoojungtimes.com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그을린 대지와 검은 눈 "Scorched Earth, Black Snow"

1950년 한국 전쟁의 영국군과 오스트레일리아군

2015-06-25

<그을린 대지와 검은 눈 1950년 한국 전쟁의 영국군과 오스트레일리아군>
저자 앤드루 새먼 | 역자 이동훈 | 책미래  |2015.06.25
원제 Scorched Earth, Black Snow
페이지 736
ISBN - 9791185134246



[책소개 – 출판사 서평]
부당하게 잊혔던 한국 전쟁이 생생하고 극적으로 되살아났다!
철저한 취재와 뛰어난 문장으로 만든 놀라운 작품!
누구도 기억 않는 절망적인 싸움에서 드러났던 용기를 묘사한 책!

한때 해가 지지 않는 제국으로까지 불리며, 세계 최강의 국력을 자랑했던 영국.
그 영국의 군대는 머나먼 우리나라에서도 싸운 적이 있었다. 그것도 우리 민족의 비극, 한국 전쟁에서!
한국 전쟁 중에서도 가장 드라마틱한 해였던 1950년. 그 해에 낙동강과 인천, 사리원, 평양, 박천, 장진호, 흥남 등 모든 격전지에서 치열한 혈투를 벌였던 영국군. 그러나 근 70년간 알려지지 않았던 그들의 이야기.
그 이야기가, 한국인 이상으로 한국을 사랑하는 어느 영국인 기자의 치열한 자료 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이제야 비로소 세상에 빛을 드러낸다.

[저자소개]
앤드루 새먼
저자 : 앤드루 새먼
저자 앤드루 새먼은 잉글랜드 출신 저널리스트 앤드루 새먼은 《알 자지라(AL JAZEERA)》, 《더 데일리 텔레그래프(THE DAILY TELEGRAPH)》, 《포브스(FORBES)》, 《더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THE SOUTH CHINA MORNING POST)》 등에 한국에 대한 기사를 쓰고 있다. 그는 엘리자베스 칼리지 건지, 켄트대학교, 런던대학교 동양 및 아프리카 연구대학에서 수학했다. 저서로는 경영사 서적인 《AMERICAN BUSINESS AND THE KOREAN MIRACLE: US ENTERPRISES IN KOREA, 1866 - THE PRESENT》(2002), 《MODERN KOREA: ALL THAT MATTERS》(2014) 등이 있다.

그의 첫 전쟁사 서적인 《TO THE LAST ROUND: THE EPIC BRITISH STAND ON THE IMJIN RIVER, KOREA, 1951》(국내 번역명 《마지막 한 발》)은 햄프셔 국방 도서관 스페셜 콜렉션 어워드의 ‘2009년 최고의 군사 서적’에 선정되었다. 또한 지난 2010년에는 월스트리트 저널이 정한 ‘한국에 관한 책 TOP 10’에도 선정되었다. 같은 해 그는 대한민국 서울의 국회의사당에서 한국 전쟁 관련 서적 출판에 기여한 공로로 ‘한류’ 상을 받았다. 그는 현재 서울에서 아내 강지영 씨와 딸 한나와 함께 살고 있다.

홈페이지 주소: HTTP://TOTHELASTROUND.WORDPRESS.COM

역자 : 이동훈
역자 이동훈은 자유기고가이자 번역가, 저널리스트인 이동훈은 중앙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으며, 《월간항공》 기자, (주)이포넷 한글화 직원을 지낸 후 《파퓰러사이언스》, 《디펜스 21 플러스》 등의 매체에 다수의 과학, 군사, 역사 관련 기고를 했다. 번역 작품은 《아버지의 깃발》, 《대공의 사무라이》, 《영국 전투》 등이 있다. 집필 작품으로는 《영화로 보는 태평양전쟁》, 《전쟁 영화로 마스터하는 2차 세계대전》 등이 있다. 또한 《하야미 라센진의 육해공 대작전》, 《세계의 전함 1939-1945》, 《운명의 1도》 등의 한글판 감수를 하기도 했다. 현재 서울에서 아내 진정숙 씨와 딸 이한나, 강생이와 함께 살고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이 책의 내용
1945년 이후 영국이 치른 전쟁 중 가장 크고 참혹하고 잔인한 전쟁인 한국 전쟁. 그중에서도 가장 지독했던 몇 개월에 대한 생생하고 감동적이며 충격적이기까지 한 기록!
일기, 노트, 편지, 생존자 90명과의 인터뷰 등, 그곳에 있었던 사람들의 증언을 통해 전개되는 스토리.
전선 370km 후방에 대한 영국 코만도의 습격에서부터 인해전술을 뚫고 벌인 필사적인 탈출전, 백병전에서부터 저격수 대 저격수의 결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전투가 총을 든 병사 개개인의 시각으로 묘사된다.
전쟁 후 60년이 지난 지금 비로소, 영국군과 오스트레일리아군들이 목격한 적 부상병 및 포로 학살, 마을 소각, 민간인 살해 등 전쟁의 잔혹한 실상도 밝혀진다.
이 책은 제27 영연방 여단과 영국 해병대 41 코만도가 1950년 UN의 이름 아래 북한의 침공으로부터 남한을 지키기 위해 벌인 처절한 사투에 대해 다루고 있다.
영국 군인들은 불과 출발 1주 전에 명령을 받아 행동을 개시했다. 그들은 인원 부족 및 장비 부족에 시달렸다. 기갑차량, 야포, 운송수단, 방한복 등 모든 것이 부족했다. 그러나 그들은 불모의 외국 땅에서 이 전쟁의 가장 중요한 임무를 맡았다. 이로써 제27여단은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으며 41코만도 또한 미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
그러나 그러한 영광은 인류의 가장 참혹했던 세기에 벌어진 가장 지독한 전쟁에서 얻은 것이다. 이 책 제목의 첫 번째 문구(그을린 대지)는 북한 마을과 작물, 통신망을 모두 초토화시킨 유엔의 지침을 가리키며, 두 번째 문구(검은 눈)는 흰 눈을 검게 만든 네이팜 공격을 가리키는 것이다.
1950년은 냉전 기간 중 자유세계 국가가 공산 국가 영토를 침공한 유일한 해다. 당시의 참전 군인들은 20세기의 중요한 순간, 폭풍의 눈 속에 있었던 것이다. 모택동은 유엔에 대항하기 위해 중국군을 투입시킴으로써 중국을 초강대국의 자리에 올려놓았다. 이 참전은 현대 역사에서 가장 큰 운명의 반전을 만들었다.
한국 전쟁에 참전한 영국 군인의 수는 포클랜드,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한 영국 군인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많다. 미국이 북한 지역에서 겪은 전투에서의 패배는 10년간에 걸친 베트남전에서 겪은 패배보다도 크다. 하지만 오늘날 한국 전쟁은 사실상 잊혀 가고 있다.
이 책은 한국전의 가장 극적이고 충격적인 몇 개월 동안의 역사를 되살려낸다. 전쟁 역사를 기록하는 작업은 간단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국전에 참전한 영국과 오스트레일리아의 군인뿐만 아니라 전쟁을 경험한 당시의 UN군 기자, 한국 민간인들의 의견이 모두 포함됐다. 기록적인 인간의 비극을 본 모든 목격자들의 증언을 모은 것이다.
이 책은 독자 여러분들의 뇌리에서 쉽게 잊히지 않을 것이다.

-이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
이 책은 한국 전쟁에 대한 것이며, 한국에 주재하고 한국을 잘 알고 있는 외국인의 관점에서 집필되었다.
이 책은 부산 방어선에서의 전투, 유엔의 북한 침공, 그리고 중국의 개입에 의한 엄청난 충격 등 전쟁의 가장 극적인 몇 개월을 다루었다.
이 책은 흔해 빠진 미국인의 관점이 아닌, 영국인과 오스트레일리아인, 한국인의 관점으로 본 한국 전쟁 이야기다.
이 책은 약 100명과의 인터뷰를 통해 진지하게 조사해 만들어진 내러티브 역사서이며, 마치 소설처럼 읽을 수 있다.
이 책은 정치인이나 장군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다. 최전선의 전쟁 모습을 담은 책이다.
그리고 이 책에서 전쟁의 가장 주목할 만한 다음 순간들에 대한 목격자들의 증언을 확인할 수 있다.

-사리원 전투에서 북한군과의 조우.
-북한 후방 깊숙한 곳을 공격한 영국 코만도.
-당시 평양과 김일성 벙커의 내부에 대한 묘사.
-중국군이 처음으로 등장한 박천 전투.
-장진호 주변의 치열한 전투.
-‘기적의 배’ 메레디스 빅토리를 이용한 흥남 철수 작전.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책속으로]
북한군들은 영국군들 속에 섞여, 매우 기쁜 표정으로 연신 영국군 차량 옆구리에 스텐실로 그려진 하얀색 별(UN군의 식별표지)을 가리켰다. 북한군들은 미소를 지으며, 영국군들이 알아듣지 못하는 한국어로 환영의 뜻을 전하며, 담배와 이런저런 선물을 전해주었다. 지나가던 어느 북한 병사는 스코틀랜드인 병사의 등을 두들기며 이렇게 중얼거렸다.
“로스케!”
수수께끼는 풀렸다. 아가일 대대 병력이 사리원 북쪽에서 남쪽으로 들어왔기에, 다른 길로 도시에 들어온 북한군은 이들을 이 전쟁에 참전하러 온 소련군으로 착각한 것이었다. 아가일 대대의 장비를 보고 북한군은 한결 더 판단을 굳혔다. 스코틀랜드 병사들은 뜨개질로 만든 캡 컴포터(cap comforter)라는 모자를 쓰고 있었는데, 이는 제2차 세계대전에서 소련군이 착용하던 모자와 비슷하게 생겼다. 그리고 이 병사들이 든 소화기는 미국제가 아니라 영국제였다.--- p.50

생각 있는 장교는 이렇게 서둘러 한국 파병이 이루어지는 것을 우려했다. 미들섹스 연대의 존 윌로비 소령은 이런 글을 적었다.
“우리 부대는 사실상 파병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거나 마찬가지였다. 거기에 생각이 미치자 나는 피가 얼어붙는 것 같았다.”
그는 여단 본부에서는 현 상황을 마치 동화나라로 여행을 떠나는 것처럼 여기고 있는 것 같다고 생각했다. 한국 파병이 워낙 성급하게 정해지고 실시되었기 때문에, 제27여단의 병사들은 자기 부대를 ‘울워스(Woolworth: 싸구려 물건을 많이 파는 백화점) 여단’ 또는 ‘신데렐라 여단’으로 부르기 시작했다. 또 어떤 병사들은 자신들이 파견되어야 할 만큼 사태가 긴급하다는 점에 빗대 자기 부대를 ‘닥치고 파병 여단’으로 불렀다.--- p.104

전선 후방에는 이 전쟁의 어두운 면이 숨어 있었다. 게릴라들은 군복을 입지 않기 때문에 양민들과 분간이 어려웠다. 따라서 비정규전에서 양민들에 대한 가혹행위는 없을 수가 없었다. 대한민국 국군이 북한인민군과 전투를 벌이는 동안, 대한민국 경찰과 기타 준군사 부대들은 게릴라들에 맞서 싸웠다. 불에 기름을 붓는 요소는 또 있었다. 한국 전통 사회에서 여성은 남자들이 정해 준 역할만을 수행하는 존재였다. 그러나 침략해 온 공산주의자들은 여성에게 더 많은 사회적 역할 수행을 약속해 주었고 주었고, 점령지에 여성위원회를 설치했다. 많은 한국 여성들이 공산주의자들이 내건 여성 해방이라는 미끼에 제대로 걸려들었다.--- p.150

사상자 1명이 발생했다. 중대에서 제일 키가 큰 병사였던 샤프였다. 버밍엄이 그를 진찰하러 갔다. 너무 어두워서 버밍엄은 샤프의 부상 정도를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샤프의 부상 부위를 보니 그가 참호를 자신의 키에 비해 매우 얕게 팠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버밍엄은 샤프의 머리를 더듬었다. 버밍엄의 손에 잡힌 샤프의 두개골은 넓은 부위가 깨져 깔쭉깔쭉해져 있었다. 박격포탄이 낙하했을 때 샤프의 머리는 참호 위로 튀어나와 있었고, 박격포탄 파편이 그의 머리에 명중하면서 상당 부분의 두개골을 날려 버린 것이었다.--- p.185

네이팜은 특유의 폭발음을 내며 폭발했다. 약간의 호박색 색조를 띤 검은색 버섯구름이 빠르게 하늘로 치솟았다. 용광로 같은 열기와 지독한 석유 냄새가 282지점을 휩쓸었고, 동시에 용암 같은 주황색 화염이 마치 장마철에 불어난 시냇물처럼 산꼭대기에서 산비탈로 터져나왔다. 최악의 오인 사격이었다. 폭심에 있던 하일랜더 병사들은 그야말로 ‘지상의 지옥’ 속으로 내던져졌다. 네이팜의 불길이 닿는 것이면 사람이건 나무건 돌이건 모조리 불이 붙었다. 장병들은 온 몸에 불이 붙어, 고통 속에서 몸을 뒤틀다가 쓰러져 숯덩어리로 변해 갔다.
머스탱 전투기들은 148지점에 급강하 기총소사까지 가했다. 지면에 작렬하는 기관총탄이 진지를 가로지르며 흙먼지를 높이 피워 올리자 스코틀랜드 병사들은 참호로 뛰어들었다.--- p.205

미 해병대에는 AP 통신의 사진기자인 맥스 데스포도 있었다. 그는 서울 시가지에서 걸작 한국 전쟁 기록 사진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그 사진은 가장 인상적인 전쟁 기록 사진으로 남아 있다. 영화에서와는 달리, 전쟁에서는 한 프레임 안에 전투 중인 적과 아군을 동시에 담기란 극히 어렵다. 데스포는 무너진 시가지에서 꼼짝 못하고 있던 미 해병대 1개 분대와 함께 있었다. 병사들은 적의 저격을 받고 쓰러져 가고 있었지만, 적의 저격수는 보이지 않았다. 그때 또 총성이 울렸다. 데스포는 몸을 돌렸다. 북한인민군 저격수가 배수로의 시멘트 블록 아래에 숨어, 불과 수 미터 떨어진 해병대원들의 발목 높이에서 총을 쏘고 있었던 것이다. 데스포는 말했다.
“운이 다한 것인지 본능 때문이었는지, 아무튼 적 저격수가 몸을 일으키자 해병대원들이 사격을 가해 그를 쓰러뜨렸습니다.”
그의 카메라는 세 명의 해병대원들이 불과 5m 떨어진 곳에 엎드려 있던 북한 저격수를 쏘아 죽이는 모습을 촬영했다.--- p.244

가장 감수성이 예민했던 다이하드 병사인 줄리언 툰스톨은 이 전쟁의 두 가지 측면인 ‘인종 차별’과 ‘가혹한 파괴’를 접하고 큰 충격을 받았다. 그는 북한군 포로 3명이 살이 패일 정도로 채찍질을 당해 가면서 지프 트레일러로 끌려가는 모습을 보았다. 영국군 하사관이 그중 한 명의 얼굴을 때렸다. 그러고 나서 세 명은 억지로 발가벗겨지고 몸을 씻겼다. 사람들은 그들을 보며 조롱해 댔다. 톰슨은 이런저런 무기를 만져 보면서 ‘국’들을 죽인 것을 논하는 동료 기자들을 역겨워했지만, 병사들에게는 유혹이 클수록, 그것을 실현할 기회도 컸다. 도덕과 양심의 구속에서 벗어나 살인과 파괴를 할 수 있다는 것이야말로, 전쟁이 인간에게 주는 잔인한 선물이다. 그리고 그 선물은 효과를 발휘하고 있었다. 오스트레일리아군과 영국군의 병사들은 암흑의 심연 속에 들어갔다.--- p.453

평양 시민 상당수는 피난을 떠나고 있었다. 모래주머니로 보강된 부교는 군부대만이 사용할 수 있도록 엄중히 경비되고 있었다. 대동강을 건너려는 피난민들은 강가만 얼어붙은 강물을 헤엄쳐 건너거나, 얼마 없는 배를 타야 했다. 또 다른 방법도 하나 있기는 했다.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거대한 후퇴의 와중에 휩쓸린 사진기자 맥스 데스포는 그 또 다른 방법이 사용되는 것을 보았다. 그는 배를 타고 가는 피난민들의 사진을 찍었다. 그 다음 그는 어떤 광경을 보고 눈을 떼지 못했다. 곶으로 향하는 강변에서 그의 눈에 들어온 그 광경은, 부러진 대동강 다리의 대들보 위에 피난민들이 잔뜩 올라가 기어가고 있는 모습이었다. 데스포의 말이다.
“그 사람들은 약간의 소지품을 짊어진 채, 대들보에 매달려 조금씩 나아가고 있었어요. 정말 엄청난 노력이었지요. 그 장면을 본 순간 가슴이 찡했어요. 기계식 카메라를 감아 사진을 찍으려 했지만, 너무 추워서 사진을 8장밖에는 찍지 못했어요.”
그는 지프로 돌아가 후퇴 대열에 다시 합류했다. 그는 자신이 찍은 사진이 한국 전쟁을 상징하는 작품이 될 줄은 상상도 못 했다.--- p.512

병사들이 총에 맞기 시작했다. 페인은 미군 부상자를 흘깃 보았다. 길옆에 앉아 있던 그는 얼굴의 절반이 사라져 있었다.
“그래도 그 사람은 살아 있더군요.”
극도의 추위가 중상자의 부상에 미치는 영향이야말로 장진호 전투의 무서운 특징 중 하나였다. 추위 속에서 혈액은 응고하는 속도보다 빠르게 얼어 버린다. 그 결과 사지를 잃는 등 상온에서는 즉사로 이어질 수 있는 큰 부상을 입더라도, 여기서는 어느 정도 생명을 부지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것도 따뜻한 곳에 갈 때까지만이었다. 그런 곳에 가서 혈액 흐름이 정상으로 돌아오면, 그 사람들을 살릴 확률은 낮았다.--- p.550

임금숙의 사촌이 말한 배는 화물선 SS 메레디스 빅토리(Meredith Victory) 호였다. 그 배는 흥남 부두를 떠난 마지막 민간 선박이었다. 이 배의 선장인 레너드 라 루는 정박 명령을 받지 못했으나, 쌍안경으로 탈출을 바라는 수천 명의 피난민들을 보고서 자원해서 흥남 부두에 들어왔다. 12월 22일 이 배는 흥남 부두에 입항했다. 라 루는 이렇게 회상했다.
“아이가 8~10명 정도 있는 식구들도 있었어요. 바이올린을 든 남자, 재봉틀을 가진 여자, 세쌍둥이를 이끌고 있는 작은 여자아이도 있었지요. 그리고 부상자 17명이 있었는데, 그중 일부는 들것에 실려 다녀야 할 정도였어요. 그리고 아기들 수백 명도 있었어요.”
사실 이 배의 설계상 승객 정원은 12명에 불과했지만, 밤사이에 한국인들은 잔뜩 몰려왔다. 이 배의 통로를 가득 채운 한국인들 중에는 임금숙 가족도 있었다. 이들은 흘수선 아래 선실에 위치한 선반으로 떼밀려 가 자리를 잡았다. 그곳도 사람들로 미어터졌다. --- p.651
[예스24제공]



“Scorched Earth, Black Snow: The First Year of the Korean War”
(Hardcover – 1 Jun 2011)
The first year of the Korean War was a tumultuous series of epic battles, ending in a legendary and harrowing retreat.

In the summer of 1950, British and Australian troops were dispatched to fight with UN forces in the savage struggle against communism in Korea.

After both triumph and tragedy while breaking out of the “ Pusan Perimeter,” 27th Brigade – the Argyll and Sutherland Highlanders and the Middlesex battalions, soon joined by the Royal Australians – spearheaded the UN drive north. After a spectacular series of battles, victory beckoned. 27th Brigade was halted to allow the Americans the glory of reaching the Chinese border.

But across the rugged border, in a shock counter-offensive, China stormed south. In a desperate action, 27th Brigade fought its way out of the trap, to join the UN Command on a harrowing, 200-mile ‘ bug out.” And across the peninsula, surrounded by eight enemy divisions in terrain higher than Cassino and temperatures colder than Stalingrad, 41 Commando fought alongside US Marines at Chosin Reservoir – ‘ Hellfire Valley’ , the most nightmarish battle fought by American or British troops in living memory - and escaped annihilation by a hair’ s breadth.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이재명 李在明 Lee Jae-myung 대한민국 대통령 제21대
“옛그림으로 떠나는 낚시여행”…안국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