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콧 파슨스 (Talcott Parsons) 의 '구조기능주의' 에 대하여
-분화하고 차별화 (differentiated) 된 구조기능주의
심흥근 기자 (
inchon7080@gmail.com)
정치학 이론에서 ‘구조기능주의’ (Structural-functionalism)는 '인류학 이론' (anthropological theory) 에서 나온 것으로 '모든 -정치 체제 (all - political systems) 는 분명한 기능을 발휘하고 실행 시킬 수 있도록 구체화 되어 있다는 '가정' (assumed thought)하에 출발한다. '구조기능주의' 개념은 정치를 분석 함에 있어서 '체제' 즉 '시스템'이라는 '추상적' 관점으로 도식을 이끌며 논제를 설명한다.
정치학자 '알몬드' (Almond) 와 '콜맨' (Coleman)은, 한 국가의 정부 조직은 각각의 고유한 기능을 담당 하게 되는데 1. '이익' 혹은 '관심사' 등을 명확히 해명하고 (interest articulation), 2. 이익을 한군데로 모아 집중하고 (interest aggregation), 3. 법 규정을 만들고 (rule-making), 4. 법의 규칙을 적용하고 (rule application), 5. 법 규정을 판결하고 (rule-adjudication), 6. 정치적 소통 (political communication) 과 7. 정치를 사회화 (socialization) 시키며 8. 정치 신인들을 모집 (recruitment) 하는 기능을 수행 해 나가는 것으로 보고있다.
알몬드는 파웰' (powell)이란 학자와 논의하여 시스템의 기능적 개념을 1.'추출-적출' extraction, 2.'분배' distribution, 3.'규제-조절' regulation, 4.'반응' responsiveness 이라는 좀더 세부화 된 전재로 ‘알몬드 자신이 만든 기존의 '구조기능주의' 개념에 추가한다.
이에 더해, 대상 분석의 기초적 이분법적 형과 양식을 상당한 차원으로 개념을 차별화하여 분리하고 '논의 범위'를 확장 전개하여 '형태 혹은 현상'의 '가변적 계수' (pattern variables)와의 상호 관련성에 가치의 무게를 둔 것은 정치학자 탈콧 파슨스의 이론적 주장이 되었다.
탈콧 파슨스의 '구조기능주의'의 관점에서 모든 구조 (all structures)는 다양한 영역에서 다양한 차원으로 (multi-functional) 기능을 하며 다양한 구조 (multi-structural)를 갖고 있다고 본다. 이미 발전된 선진국가의 시각으로 개념을 정리 해 본다면 1. '개발'과 '발전'이란 관점 (developmental aspect) 과 2. 세속화의 정도 (secularization), 3. 역할의 차별화 (role differentiation) 그리고 4. 하부구조의 자율성 (subsystem autonomy) 정도를 척도로 (gauge) 삼아 정치발전의 수준을 측량하는 도구로서 사용한다. 특히 정치체제의 다변화된 구조적, 문화적 요소도 측정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는 전제를 두고 있다.
오늘의 현대적 정치 시스템은 '종교적인' (religious) 것과 '속성적인 규범' (ascriptive- criteria)의 집착에서 벗어나 좀더 분화하고 차별화 (differentiated) 된 구조기능주의적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Guy Peters, 1998, pp. 114-115.)
참고도서:
B. Guy Peters, "Comparative Politics-Theory and Methods" (1998). New York University Press.